Variable(변수)
변수(variable)는 값을 임시로 저장해 둘 수 있는 상자와 같다.
참고: 코틀린 변수
변수 실습을 해보자.
당분간은 윈도우즈 파워쉘을 사용해서 코딩한다.
파워쉘(power shell)을 실행한 후 파이썬을 사용할 수 있도록 python을 입력한 후 엔터키를 친다.
실습: 변수 x 에 1을 넣은 후 x 의 값을 확인한다.
코딩에서 = 부호는 '같다'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넣는다, 저장한다'의 뜻이다.
그러므로 x=1 의 뜻은 'x에 저장하라 (뭘) 1을' 이다.
실습: 변수 x 에 2을 넣고, 변수 y 에는 3를 넣은 후 x 와 y 의 값을 확인한다.
실습: 변수 a 에 문자열 Hello Python 을 넣은 후 a의 값을 확인한다.
문자열은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를 사용한다.
name 이라는 변수에 내 별명을 넣은 후 확인해 보았다.
숫자를 변수 이름으로 할 수 있나?
syntaxError(구문 오류)라는 에러가 뜬다.
숫자를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변수 이름을 my name이라고 하고 값을 넣어보자.
구문오류가 뜬다. 그러므로 변수명을 적을 때 '빈칸'을 넣으면 안된다.
myname이라고 하면 되지만 헷갈릴 수 있으므로 첫단어는 소문자로 시작하고 그 다음 단어부터는 대문자로 시작하도록 변수명을 작성한다.(myName) 이런 방법을 낙타 모양같다고 해서 CamelCase (낙타 표기법)이라고 한다.
또 다른 방법은 뱀 모양의 스테이크 표기법(snake_case)이 있다. snake_case 이렇게 표현한다.
그런데 파이썬에서는 관습적으로 '낙타표기법'을 사용할 때 첫번째 단어의 첫글자를 소문자로 적는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소문자로 시작하면 무조건 'snake case' , 대문자로 시작하면 무조건 Camel Case로 판단하면 된다.
그리고 대문자로 시작하는 Camel Case는 클래스(Class)이름에 사용하고, snake_case는 함수와 변수 이름에 사용하는 것이 관습이다. 파이썬의 로고에서 보듯이 파이썬이라는 말이 본래 비단뱀이라고 하는데 그래서 snake case를 선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오늘은 여기까지.
Wraven...
'프로그래밍 언어 > AI & 파이썬_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Python 코딩_05_조건문 (0) | 2020.08.27 |
---|---|
파이썬 Python 코딩_02_설치 (0) | 2020.08.23 |
파이썬 Python 코딩_04_타입(Types) (0) | 2020.08.20 |
파이썬 Python 속성 정리_01 (0) | 2020.08.17 |
파이썬 Python 속성 정리_00 (0) | 202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