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String)과 정수(Integer)
앞 글에서 String(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어 보았다.
이번에는 문자열과 더불어 많이 사용하는 Int(정수)타입에 대해 알아본다.
String , Int 를 Data Type(데이터 타입(형))이라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따로 정리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앞 글에 이어 Int를 사용한 간단한 함수를 맛보기로 만들어 본다.
아래와 같이 함수를 만들자.
함수 이름은 sum이다.
sum이 '합산'이라는 뜻이란걸 안다면 이 함수의 성격을 짐작할 수 있을것이다.
그러므로 함수의 이름을 지을 때는 성격이나 특징을 알 수 있는 핵심어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방식은 다른 이름을 지을 때도 같이 적용 한다.
매개변수는 2개(x, y)이다.
매개변수가 2개 이상이면 쉼표( , )로 구분한다.
매개변수의 Data Type(자료형식)은 Int이다.
Int는 Integer(정수)의 준말이다.
반환자료형은 없으므로 Unit 이다.
이제 실행할 내용을 코딩한다.
이번에는 반환형으로 만들 것이다.
아래 처럼 코딩해 보자.
return은 fun과 색이 같다.
그래서 return은 함수인 것 같지만 사실은 함수는 아니고 그 비슷한 역할을 한다.
특별히 return statement(리턴문, 반환문)이라고 부른다.
return문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정리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일단 return 뒤에 값이 있으면 그것을 호출한 함수에 반환(되돌려 줌)한다는 것만 기억한다.
위 그림에서 잘못된 부분은 어디일까?
반환값이 있으면 그 반환값의 형식(반환자료형)을 표시해야 한다.
이제 main() 함수에서 sum() 함수를 사용해 보자.
실행해서 확인해 보자.
앞 글과 이번 글에서 데이터 형식(Data Type; 데이터 타입) 중에서 String과 Int 이 무엇인지 맛보기로 사용해 보았다.
지금까지 배운 'fun' , 'String' , 'Int'를 사용해서 다양한 함수를 만들어 보고 실행 테스트를 해본다.
끝.
'프로그래밍 언어 > 코틀린_쌩초보를 위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쌩초보를 위한 기초_06_Variable_변수 (0) | 2020.03.08 |
---|---|
쌩초보를 위한 기초_05_함수의 형태 (0) | 2020.03.08 |
쌩초보를 위한 기초_03_Function_함수 (0) | 2020.03.07 |
쌩초보를 위한 기초_02_Parameter_매개변수 (0) | 2020.03.07 |
쌩초보를 위한 기초_01_메인함수 (0) | 202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