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타입 Char 와 String
이번에는 변수형 중에서 문자형에 대해 알아본다.
문자형에는 2가지가 있다.
Char
String
Char은 Character(문자,성질)의 준말로 '하나의 문자'에 사용한다.
String 은 문자열에 사용한다.
Char형은 작은따옴표를 사용한다.
한 글자 숫자(0,1,2 ~ 9)를 Char형으로 사용하면 문자형이 된다.
String형은 큰따옴표를 사용한다.
숫자를 String형으로 사용하면 문자형이 된다.
아래 코드를 작성한 후 실행해 보자.
문자열을 여러 줄에 걸쳐 나타낼 때는 큰따옴표 3개를 사용한다.
문자열 내부에 변수를 사용할 때는 변수명 앞에 $ 기호를 앞에 붙인다.
그리고 변수명을 중괄호{ }로 감싸면 변수값과 글자를 붙일 수 있다.
문자열을 연결할 때는 +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해 보자.
코드의 뜻은 아래와 같다.
변수 str1에 문자열을 넣고
변수 str2에도 문자열을 넣는다
만약 (변수str1과 변수str2가 같다) 라면
true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출력하라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문자열을 비교할 때는 == 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한가지 더 해보자.
먼저 main() 함수 바깥에 date()함수를 만들고 날짜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넣는다.
날짜를 표시하는 문자열은 변수로 만들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변수에 함수를 넣을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러 만들었다.
어쨌든 date()함수가 만들어졌다.
그 다음 main()함수 안에 아래 코드를 입력하고 실행해 보자.
설명하면
변수 todayDate 에 문자열 (오늘 날짜:)를 넣고
변수 printDate 에 변수todayDate와 함수date를 넣은 모양이다.
앞에서 변수명을 문자열에 넣을 때 { } 중괄호를 사용한다고 했다.
위 코드는 아래와 같이 적어도 결과는 같다.
"${todayDate} ${date()}
참고로 여기서는 실행이 되지 않아서 일부러 date()함수를 만들었는데
정식 프로그램에서는 날짜를 표시하는 내장함수가 있으므로 그것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코틀린은 자바와 100% 호환되므로
실제 코딩에서 자바의 Date() 함수를 넣어서 쓸 수도 있다.
단 이때는 자바의 자료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클래스를 import로 연결해야 한다.
import는 다음에 배울것이다.
변수형 Boolean
Boolean은 true(참) , false(거짓) 2개의 값이 있다.
줄여서 Bool(부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Boolean형은 조건을 검사하거나 상태를 켜거나 끄는 용도로 많이 사용한다.
이것으로 변수형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만 간단히 알아보았다.
끝.
'프로그래밍 언어 > 코틀린_쌩초보를 위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쌩초보를 위한 기초_10_함수의 진화A (0) | 2020.03.11 |
---|---|
쌩초보를 위한 기초_09_범위_scope (0) | 2020.03.10 |
쌩초보를 위한 기초_07_변수 타입_Number (0) | 2020.03.09 |
쌩초보를 위한 기초_06_Variable_변수 (0) | 2020.03.08 |
쌩초보를 위한 기초_05_함수의 형태 (0) | 2020.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