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무작정 앱 만들기_03_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첫화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인터페이스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어떻게 생겼는지 살펴본다. 화면의 세부 항목들은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개략적인 내용만 파악하기로 한다. 안스를 처음 설치했을 때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지만 몇 번 사용하다 보면 익숙해 진다. 다른 프로그램들도 마찬가지다. '안스'를 설치한 후 첫 프로젝트를 만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일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가 마주하는 화면'을 User Interface라고 하고 줄여서 UI라고 부른다. interface는 '상호 작용'이라는 뜻인데 inter(~사이에) + face(얼굴, 만들다) 두 단어가 합쳐진 단어이다. 그러므로 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컴이나 폰을 마주하고 어떤 행동을 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내는 .. 더보기
무작정 앱 만들기_02_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하기 앞의 글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다운로드 해서 '열기'를 클릭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화면이 뜬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정(Setup)을 환영한다는 제목이다. Next(다음) 버튼을 클릭한다. 위 화면은 '구성 요소'를 선택하는 창이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기본적으로 체크되어 있다. Android Virtual Device는 줄여서 AVD라고 하는데 '안드로이드 가상 장치'라는 것이다. 앱을 만드는 과정에 폰 등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2가지 있다. 한가지는 실제 폰을 컴퓨터에 연결하는 방법 또 한가지는 컴퓨터가 만드는 '가상 폰'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실제 해본 경험으로는 실제폰을 연결하는 것이 훨씬 좋은것 같다. 일단 폼이 난다. 연결하는 방법도 간단하다... 더보기
무작정 앱 만들기_01_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개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앱 만들기 앱이나 게임을 만들려면 제작 도구가 있어야 한다. 흔히 ‘개발툴(Development Tool)’이라고 부른다. 제작 도구는 밥을 하기위한 밥솥과 같다. 개발툴로 불리는 말은 SDK라는 것도 있고 IDE라는 말도 있다. (시작부터 헷갈린다) 간단히 말하면 SDK는 Software Development Kit(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줄인말이다. 이것은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번들(꾸러미)이다. 즉, 프로그램 만드는 필수 도구 상자다. 안드로이드 앱을 만드는데 필요한 Java SDK iOS(애플의 모바일 운영체제) 앱 개발에 필요한 iOS SDK 등이 있다. IDE는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더보기
무작정 앱 만들기_00_개요 앱 만들기 도전 완전 문외한인 내가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를 배우기로 했다. 오십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삶에 활기를 불어 넣어야겠다고 마음으로… 목표를 세웠다. 죽기 전까지(아직 반 남았다.ㅎㅎ) 그럴싸한 게임을 하나 만드는 것이다. ‘구글이’한테 물어보았다. 구글이는 내가 붙인 구글(Google)의 별칭이다. 어떤 이는 ‘구글신’ 또는 ‘구박사’라고도 부른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 것 같았다. 일단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코딩)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수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 중에서 자신이 하려는 작업에 적합한 언어를 선택하면 된다. 요즘에 제대로 된 앱(App)이나 게임을 만들려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나 ‘유니티(.. 더보기
티스토리 만들기_06_글쓰기 글쓰기. 포스팅 이번에는 블로그 글쓰기에 대해 알아본다. 참고로 글쓰기는 포스트(post)라고도 한다. 포스트는 우리말로는 '게시글'이다. 본래는 '우편'이라는 뜻인데 근래에 와서 인터넷에 글을 올린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그리고 글쓰는 작업 또는 글을 올리는 행동은 포스팅이라고 한다. 다들 아는 말일텐데 쑥스럽구만! 본론으로 들어가자. 글쓰기를 하려면 블로그 관리자 홈으로 간다. #해보기: 1. 관리자 홈 화면으로 이동한다. (북마크(즐겨찾기)에 추가해 놓았을 것으로 믿고 그림은 생략한다.) 2. 관리자 홈 오른쪽 위에 '글쓰기' 버튼을 클릭한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글을 써 달라고 커서가 깜박이고 있다.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제목을 적고 본문 내용을 적는다. 그림 등을 넣고 싶으면 '첨부' 아.. 더보기
티스토리 만들기_05_카테고리 카테고리 만들기 글을 종류별로 모아서 관리할 때는 보통 상단 부분에 카테고리(Category)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이번에는 카테고리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본다. 현재 블로그에는 오른쪽 위에 메뉴가 3개 있다. 홈,태그,방명록 이번에 해 볼 작업은 카테고리를 만든 후에 블로그 메뉴 부분에 추가해 볼 것이다. 카테고리 역시 블로그관리 홈에서 만들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해보기: 자신의 블로그 관리 홈으로 이동하자. (자주 가는 사이트는 북마크(즐겨찾기)에 넣어 놓으면 쉽게 갈 수 있으므로 등록해 놓자.) #해보기: '콘텐츠'에 있는 '카테고리 관리'를 클릭한 후 '카테고리 추가'를 누른다. #해보기: 빈칸에 카테고리 제목을 입력하고 주제없음을 누른 후 카테고리의 주제를 선택한다. 아래 처럼 자신의 카테고리.. 더보기
티스토리 만들기_04_스킨 스킨 편집 이번에는 스킨에 대해 알아본다.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에서 스킨(skin)이라는 말은 외형으로 보이는 디자인을 말한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도 이 스킨을 바꿀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해보기: 블로그 관리 홈으로 이동하자. 블로그의 스킨 편집은 블로그 관리 홈의 메뉴 중에서 '꾸미기-스킨편집'에서 할 수 있다. #해보기: 왼쪽 메뉴의 꾸미기에 있는 스킨편집을 클릭한다. 스킨 편집창이 나타난다. 오른쪽에 보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스킨 이름은 Whatever 이다. 왼쪽창 중앙 위쪽에는 모니터, 태블릿, 휴대폰 선택 아이콘이 있다. 선택하면 각 기기별로 모양이 어떻게 바뀌는지 알 수 있다. 현재는 모니터가 선택되어 있다. 휴대폰 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모양으로 바뀐다. 스킨 화면의.. 더보기
티스토리 만들기_03_관리_파비콘 아이콘 넣기 파비콘. 아이콘 넣기 이번에는 파비콘과 아이콘을 넣어 보자. 파비콘(favicon)이란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탭에 표시하는 아이콘이다. #해보기: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화면으로 간다. #해보기: 블로그 관리 홈 왼쪽 메뉴에서 '관리'에 있는 '블로그'를 클릭한다. 불러오기 버튼을 눌러서 아이콘과 파비콘 이미지를 등록한다. 아이콘 이미지는 32x32 또는 64x64 크기의 png형식 그림 파일을 사용한다. 파비콘 이미지는 ico 형식의 파일을 사용해야 한다. 포토샵 등으로 ico 이미지 파일을 만들기 어려울 경우에는 그림 파일을 ico그림파일로 변환해 주는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웹사이트를 이용해서 다른 형식의 그림 파일을 파비콘으로 사용할 ico 그림파일로 변환해 보자. #해보기: 웹브.. 더보기